215일차 - 역대상 10장~11장 | 운영자 | 2025-08-02 | |||
|
|||||
215일차 역대상 10-11장 *주제: 모델 다윗
*Reading Guide 지금까지 아담부터 시작된 온 이스라엘의 족보를 읽었습니다. 이제 10장부터 29장까지는 다윗의 일대기입니다. 성전 문화를 발전시키고, 제사를 가르치고자 했던 에스라의 모델이 '다윗' 점을 염두에 두고 읽겠습니다. 만일 역대기가 단 하나의 인물만을 부각시키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그는 단연 다윗입니다. 역대기는 다윗에게 거의 스무 장에 달하는 파격적인 지면을 할애합다. 반면 초대 왕 사울에게 할애된 지면은 단 한 장뿐입니다. 역대기는 성전과 관련된 두 왕, 다윗과 솔로몬에게 집중적인 관심을 보입니다. 오늘 읽으실 10-11장은 이스라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인 사울 왕의 죽음과 다윗의 왕위 등극을 다룹니다. 역대기 기자는 이 사건들을 통해 이스라엘의 정통성 있는 왕권이 사울에게서 다윗에게로 어떻게 옮겨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하나님의 섭리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10장: 사울의 비극적인 종말 역대기상 10장은 이스라엘의 첫 번째 왕이었던 사울의 죽음을 기록합니다. 사무엘상 31장과 거의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지만, 역대기 기자는 사울의 죽음이 단순히 전쟁의 결과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거역한 죄의 결과임을 강조하는 데 집중합니다. 사울의 불순종과 죄: 역대기 기자는 사울이 죽은 이유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10:13-14). 그것은 그가 "여호와께 범죄하였기" 때문이며, 특히 여호와의 말씀을 지키지 아니하고(불순종) 신접한 자에게 가르치기를 구하고 여호와께 묻지 아니하였기(불신앙과 우상숭배적 행위) 때문입니다. 이는 하나님께 대한 순종과 신뢰가 왕의 자격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왕은 단순히 군사적 능력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철저히 복종하는 자여야 함을 역설합니다.
사울의 이야기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아무리 높은 자리에 있더라도,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고 그분의 말씀을 무시하며 자기 뜻대로 행할 때 어떤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경고합니다. 또한, 어려운 시기에 사람의 방법이나 불신앙적인 방법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께만 나아가야 함을 일깨워줍니다. 11장: 다윗의 왕위 등극과 용사들 11장은 이스라엘 온 지파가 다윗을 왕으로 추대하고, 다윗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삼으며, 그의 용맹한 군대와 함께 번성하는 모습을 그립니다. 이 장은 다윗 왕조의 정통성과 하나님의 함께하심을 강조하는 데 주력합니다. 백성들은 다윗이 이미 "우리의 골육"이며 "이스라엘을 인도하여 나갔던 자"라고 고백하며, 하나님께서 그를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요 "주권자"로 삼으셨다고 인정합니다. 이는 다윗의 왕권이 하나님의 뜻과 백성의 지지라는 두 가지 중요한 정통성을 동시에 가졌음을 강조합니다.
다윗이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다윗성"이라 명명한 것은 그의 통치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자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예루살렘은 지리적으로 이스라엘의 중앙에 위치하여 모든 지파가 접근하기 용이했으며, 정치적, 종교적으로 중립적인 위치였습니다. 이곳을 수도로 삼음으로써 다윗은 이스라엘의 통일된 왕국을 굳건히 세울 기반을 마련합니다. 특히, "여호와께서 다윗과 함께 계시니" (11:9)라는 표현은 다윗의 성공과 강성함이 그의 능력뿐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와 축복에 기인했음을 명확히 합니다. 다윗의 용사들 (11:10-47): 11장의 후반부 대부분은 다윗을 따랐던 용맹한 군대, 즉 "다윗의 용사들"의 목록과 그들의 활약을 기록합니다. 이는 다윗의 왕국이 단순히 영적인 기반 위에만 세워진 것이 아니라, 강력한 군사력과 충성스러운 추종자들을 통해 견고해졌음을 보여줍니다. 이 용사들은 목숨을 걸고 다윗을 위해 싸웠으며, 그들의 용맹함은 다윗 왕국의 영광을 상징합니다. 또한, 이들의 이름이 하나하나 기록된 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는 일에 각자의 자리에서 헌신하고 충성한 자들의 수고가 결코 잊혀지지 않음을 보여주는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10장의 사울과 11장의 다윗을 비교하며 읽는 것은 역대기 기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불순종으로 버림받은 왕과 하나님과 백성의 지지로 세워진 왕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진정한 리더십의 자격이 무엇인지를 묵상할 수 있습니다. 다윗이 성공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여호와께서 다윗과 함께 계셨기" 때문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오늘날 우리 삶에서도 하나님의 임재와 동행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줍니다.
|
댓글 0